본문 바로가기

글로벌콘텐츠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 대당서역기, 불국기, 왕오천축국전, 대당서역구법고승전, 송운행기 (김규현 지음)

세상의 모든 길은 실크로드로 통했다!!!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고전을 번역하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덕목은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것

 

  우리말로 옮겨 놓았다는 번역물을 읽어보아도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다면 번역의 의미가 없다. 모름지기 번역이란 원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요점을 번역자가 잘 파악하여 제 3의 언어로 정확하게 오롯이 옮기는 작업이지만, 원문의 지나친 집착은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 때가 많다. 그런 함정에 빠지지 않고 번역을 하려면 우선 번역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과 경험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은 새삼 강조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더구나 고전 원문에 토(吐)나 역주(譯註)를 다는 작업은 제2의 저술이니 만큼 그런 덕목이 더욱 필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고전을 번역하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덕목은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하자면 우선 고대 언어를 우리시대 나아가 미래까지 담을 수 있는 언어로 옮겨 놓아야 한다.

  선입견이 문제일 뿐 고전이 모두 고리타분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 수많은 고전들이 서고에서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는 현실은, 자주 쓰이는 인터넷 용어처럼 시대적으로 업그레이드하지 않은 탓일 것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해석하기 나름으로 고전이 화려하게 서가(書架)의 앞자리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증거를 최근 우리는 여러 차례 경험한 적이 있다.

 

5~8세기 실크로드의 역사 문화를 풀어놓다 (고전여행기의 전집화)

 

<실크로드 고전여행기>는 인도여행기 다섯 종을 한 질로 묶은 백과사전적 대하기획이다.

  인류역사상 최대의 여행기로 꼽는 7세기 현장(玄奘)법사의 순례의 혼이 깃든 대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의 자랑거리인 8세기 신라 혜초(慧超)의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그리고 최초의 인도 구법여행기인 5세기 법현(法顯)의 『불국기(佛國記)』, 그리고 해양 실크로드의 백미인 8세기 의정(義淨)의 『대당서역구법고승전(大唐西域求法高僧傳)』과, 위의 여행기들의 시대적 공백을 이어준 6세기 송운(宋雲)의 「송운행기(宋雲行記)」 등 5대 고전여행기를 한 질로 묶었다. 그동안 이 방면에 관심을 갖는 독자들과 연구자들에게 불편한 점이었던 분산된 방대한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비교・검색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만으로도 이번 간행되는 <실크로드 고전여행기>는 참으로 의미가 크다 하겠다.

 

 

고전여행기, 현대화의 초석을 다지다 (고전여행기의 지도화, 시각화)

 

  모든 고전여행기가 후인들을 위한 가이드북의 성격을 띤 것이란 점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여행의 의미를 한결 업그레이드한 테마여행은 이미 현대를 넘어 미래지향적인 붐을 이룬 지 오래 되었다. 이런 두 가지 의미에서 본다면 여행기라는 고전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지향적 테마여행의 중요한 텍스트라는 공식이 성립된다. 문제는 어떻게 고전을 업그레이드하느냐 하는 것이다. 그 해답으로 옮긴이는 지닌 20여 년 동안 5대 여행기의 체취가 묻어 있는 지구촌 구석구석을 누비옷을 누비듯이 두 발로 다니며 다양한 자료를 모아가며 이론의 여지가 있는 문제의 현장을 발로 확인하여 마침내 큰 의미가 있는 지도와 도표를 만들어 고전여행기를 ‘가이드북화’하려고 노력하였다.

 

(실크로드 갈래길 지도화! 파미르고원 횡단로 지도화!)

 

  기존의 고작 두세 가지였던 실크로드를 더욱 세분하여, 큰 간선으로는 11루트, 작은 지류로는 22갈래로 분류하여 자세한 설명을 붙이고 이를 다시 <실크로그 갈래길 총도>와 <파미르고원 횡단도>로 만드는 성과를 이루어 이번 여행기 총서에 최초로 공개하게 되었다.

  특히 파미르고원을 넘나드는 루트는 예부터 실크로드의 여러 갈래길에서 가장 백미에 해당되는 것으로 우리의 혜초사문과 현장법사를 비롯한 수많은 순례승들의 체취가 진하게 배어 있는 비중 있는 곳임에도 불과하고 역사상 그 누구도 아직까지 속 시원하게 밝혀내지 못한 채 지금에 이르렀기에 더욱 그 의미가 깊다. 이번 총서에서 새롭게 제공되는 지도는 약 30여 개에 이른다.

 

다정 김규현, 풍부한 현지답사를 경험으로 고대 지명을 코드화하다 (고대 지명의 숫자, 색인 코드화, 디지털화)



  옮긴이의 풍부한 현지답사의 경험을 살려 난해한 원문의 지명을 현재의 지명과 함께 병기하여 ‘가이드북’으로서의 기능을 더욱 업그레이드하였다. 또한 모든 나라이름은 지도와 같은 숫자로 코드화하고 또한 각주에서는 5대 여행기를 교차적으로 비교하여 독자들이 고전여행기를 읽을 때 만나게 되는 혼란을 한결 가볍게 해주었다는 점도 특징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목 색인표의 <(1-2) 쿠차(庫車/ Kucha/ 굴지국/ 屈支國)>라는 제목은 <『대당서역기』 1권 2장/ 현대 한글명/ 현대 원어명/ 현지 영어명/ 고전 한글명/ 고전 원어명>을 뜻하고 이 코드의 숫자는 또한 지도명의 숫자와 일치하기에 독자들은 일목요연하게 필요한 부분을, 마치 온라인에서 검색하듯이, 다양한 검색어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였다.

 

<연대별 5대 여행기>

 

1. 5세기: 동진(東晉) 법현(法顯)의 『佛國記(法顯傳)』

2. 6세기: 북위(北魏) 혜생(惠生)의 『洛陽伽藍記(宋雲行記)』

3. 7세기: 당(唐) 현장(玄獎)의 『大唐西域記』

4. 7세기: 당(唐) 의정(義淨)의 『大唐西域求法高僧傳』

5. 8세기: 신라(新羅) 혜초(慧超)의 『往五天竺國傳』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1) 대당서역기


 

삼장법사 현장으로부터 남겨진 138개국의 방대한 구법(求法)여행 견문록

(인류역사상 최대의 여행기)

 

  중국 당나라 고승 현장(玄奬, 602∼664)법사가 17년 동안의 인도 여행 중의 견문을 이야기한 것을 제자 변기(弁機)가 646년 당 태종의 칙령에 의해서 편찬하였다. 당 나라의 법을 어기면서 장안을 출발하여 구법(求法)의 여행을 나선 현장은 서역제국을 거쳐서 인도에 이르러 불교교학의 연구와 불적을 순례하고 많은 경전들을 가지고 귀국해 거국적인 환영을 받았다. 총 12권으로 이루어진 『대당서역기』는 여행기 중의 백미로 인류 최고의 여행기로 꼽히며,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138개국의 역사・지리・산천・성읍・교통・풍습・산물・정치・문화・생활 등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2) 왕오천축국전



5만 리를 걸어서 천축을 순례했던 철인 같았던 혜초

 

  신라의 승려 혜초(慧超, 704~787)가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뒤 쓴 여행기로,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P. 펠리오에 의해 둔황 천불동에서 그 실물이 발굴되었고, 중국의 나진옥(罗振玉)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그러나 이 문헌은 원래 세 권으로 추측되나 현존본은 앞뒤 부분이 떨어져 나간 두루마리형태의 필사본으로 현재 파리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가 2011년 우리나라 국립박물관에서 잠시 전시된 바 있다.

 

 

 

 

『왕오천축국전』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

① 5~7세기 인도여행기들은 육로기행과 해로기행(海路紀行)으로 각각 나누어진 데 반해, 『왕오천축국전』은 육로기행과 해로기행이 함께 언급되고 있다.

② 6세기와 7세기의 여행기는 인도정세를 말해주는 자료이지만 이 책은 8세기의 사료다. 8세기의 인도와 중앙아시아에 관하여서는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③ 일반적인 정치정세 이외에 사회상태에 대한 사료적 가치가 돋보인다는 점이다. 불교의 대승이나 소승이 각각 어느 정도 행하여지고 있는지, 또 음식・의상・습속・산물・기후 등도 각 지방마다 기록하고 있다. 중부인도에서 어머니나 누이를 아내로 삼는다거나, 여러 형제가 아내를 공유하는 풍습이 있다는 등의 기록은 사실과 부합하므로 이 자료의 신빙성을 입증하고 있다.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3) 불국기



법현의 구법여행 견문록, 승려 10여 명과 함께 전해줘

(최초의 인도 구법여행기)

 

  동진(東晋)의 법현은 동아시아권 최초로 399년 도반 10여 명과 함께 장안을 출발하여 중앙아시아를 경유, 인도로 들어가 약 8년간 불적을 순례하고 산스크리트를 배우며 율전(律典)을 구하여 스리랑카로 건너가 약 2년간 체류하고, 412년 수마트라에서 해로로 중국 산동반도로 돌아왔다.

  『불국기』는 그 동안에 지나온 30여 개국에 대한 견문기(見聞記)로 당시 인도의 불교・풍속 등을 아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데, 수많은 승려들이 부처님의 나라로 구법여행을 떠났지만 성공한 사람도 드물고, 더구나 돌아와 여행기를 남긴 구법승은 극소수인 것을 보면 그 가치가 더욱 빛난다고 하겠다.

  이 문헌은 『역유천축기전』, 『고승법현전(高僧法顯傳)』, 『동진법현기(東晉法顯記)』, 『법현전(法顯傳)』이라고도 불린다.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4) 대당서역구법고승전 



승려 60여 명의 행적을 기록한 7세기 50년의 대하기록

(해양 실크로드의 백미)

 

  640년경부터 690년경 사이 당에서 인도로 가서 불교를 배우거나 순례한 승려 60명의 행적을 기록한 책으로, 전 2권으로 찬술되었다.

  의정(義淨)이 인도의 유학을 마치고 광저우(廣州)로 돌아오는 도중에 수마트라 섬의 남동부 팔렘방(Palembang) 지역에 머무는 동안에 저술하여 691년에 귀국하는 일행에게 부탁하여 장안으로 보내어진 것으로 당시 인도・동남아시아의 불교사정과 동남해 항로에 관한 귀중한 자료들이 들어 있다. 특히 혜초보다 한 세기 앞서 인도를 들락거린 해동의 승려 8명의 행장이 소개되어 있어서 우리에게는 더욱 귀중한 문헌으로 꼽히고 있다.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5) 송운행기 



5세기와 7세기의 시대적 공백을 이어준 송운행기

(독특한 루트의 개척)

 

  518년에 북위(北魏)의 호태후(胡太后)의 명을 받들어 송운(宋雲)과 혜생(惠生) 등이 서역과 인도를 다녀와 기록한 여행기를 양현지(楊衒芝)가 편저자(編著者)가 되어 여러 사람의 경험을 짜깁기해서 기록한 특이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낙양가람기』에 기록되어 있는 이 문헌은 서역과 인도의 순례기로서는 너무 짧고 불완전하지만 몇 가지 점에서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 이유는 5세기의 법현과 7세기의 현장 사이의 6세기라는 시대적 공백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 첫 번째 이유이고, 다음으로는 청해호 지방 토욕혼의 차이담분지를 통과하는 특이한 루트를 개척하였다는 점이고, 마지막으로는 미지의 대제국 에프탈에 대한 귀한 정보를 남겼다는 등이 다른 여행기와 차별화되어 역시 귀중한 문헌으로 꼽힌다.

 

 

◆ 역주 소개 ◆


 

 다정 김규현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화공과 자퇴)와 해인불교전문강원을 거쳐 베이징의 중앙미술대학, 티베트 라싸의 티베트대학에서 수인목판화와 탕카를 연구하고, 1993년부터 ‘쌍어문 화두’를 들고 양자강, 황하, 갠지스, 인더스 강과 티베트고원을 종주하면서 그 여행기를 신문 잡지에 연재하였다.

  1997년 강원도 홍천강 ‘수리재(水里齋)’에 한국티베트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우리 문화와 티베트 문화의 연결고리에 관련된 저술에 몰두하여 『티베트의 신비와 명상』(2000), 『티베트 역사산책』, 『티베트의 문화산책』, 『혜초 따라 5만리』(상・하), 『바람의 땅, 티베트』(상・하) 저술하고 한편 국내외에서 개인전 [공간미술관(1989년), 경인미술관, 티베트 라싸예총 초대전] 등을 열었고, 화집으로 <월인천강별곡(月印千江別曲)시리즈>, <싣다르타의 꿈> 등에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KBS다큐 <차마고도>(6부작), KBS역사기행 <당번고도>(2부작), KBS역사스페셜 <혜초>(2부작), KBS다큐 <티베트고원을 가다>(6부작), MBC다큐 <샤먼로드> 같은 다큐를 기획하는 등 리포터 및 고문역을 맡아왔다.

  


실크로드 고전여행기

저자
김규현 지음
출판사
글로벌콘텐츠 | 2013-02-15 출간
카테고리
역사/문화
책소개
인류역사상 최대의 여행기로 꼽는 7세기 현장법사의 순례의 혼이 ...
가격비교

 

좀 더 자세한 정보와 구매는  www.gcbook.co.kr로 들어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