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덕교육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변용 (김민재 지음 / 글로벌콘텐츠 발행) ■추천사■ 21세기 초반 한국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유교(儒敎)는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불과 한두 세기 전 조선의 선비들에게 그것은 학문과 정치, 교육을 아우르는 총체적 삶의 기준이었지만, 우리들에게는 그 중 어떤 것으로도 선명하게 다가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유교와 무관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외형적으로 유교의 흔적이 가장 강하게 남아 있는 것을 꼽는다면, 학교 교육과정 안에 존속하고 있는 도덕 교과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유교문화권의 교육과정에 독특한 형태로 살아 있는 도덕 교과는 교육의 본질을 도덕교육 또는 인성교육 자체와 동일시했던 유교의 전통이 새겨 놓은 흔적이기 때문이다.유교를 학문의 형태로 공부하여 도덕교육학과 동양철학의 .. 더보기
한국인의 정치의식과 도덕교육 (이강빈 저/글로벌콘텐츠 발행/교육학) 한국적 시민성의 근간을 둔 도덕교육으로서의 시민교육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도덕교육으로서의 시민교육이 아직도 제자리를 잡고 있지 못하는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는 한국적 시민성에 바탕을 두어 도덕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적 시민성의 하나인 관용정신은 서구적 시민성에서 논의되는 관용정신보다 훨씬 폭넓고 깊이가 있는 정신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서양 사람들보다 옹졸하고 파당적인 뒤떨어진 사람들로 낙인을 찍어 서양 사람들로부터 관용정신을 배워야 한다는 생각이 이 땅에 널리 퍼져 있음이 현실이다. 또한 한국적 시민성인 정의감(正義感)과 미래지향성은 서구적 시민성에 비하여 결코 뒤지지 않음은 이를테면 1970~198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민주화운.. 더보기